1. 타임존 설정
/etc/config/system 빨간 부분 수정.
config system |
2. system 재시작
# /etc/init.d/system restart |
/etc/config/system 빨간 부분 수정.
config system |
# /etc/init.d/system restart |
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 4권에 나오는 지도
페이지원 HD를 아직도 사용중이다.
그런데 최근 크레마 PC버전을 설치하고 사용하려니 페이지원HD 인식을 못하였다.
그래서 어렵사리 예전 버전을 구해서 사용하니 인식을 하였다.
혹시 몰라 여기에 업로드 해 놓는다.
http://fehead.tistory.com/218 M1200AC(WF-2881) 분해
http://fehead.tistory.com/219 Open Wrt 올리기 1 - 부품 주문
http://fehead.tistory.com/221 Open Wrt 올리기 2 - 핀 헤더 연결
- http://cafe.naver.com/062samo/10722 공유기 사용자 모임 초보설계자님 글
- https://wiki.openwrt.org/toh/netis/wf-2881 Open Wrt 위키
- https://sourceforge.net/projects/tftp-server/?source=typ_redirect Tftp Server
- http://www.chiark.greenend.org.uk/~sgtatham/putty/latest.html Putty
http://www.chiark.greenend.org.uk/~sgtatham/putty/latest.html 로 들어 가서 putty.exe 를 다운받는다.
https://the.earth.li/~sgtatham/putty/latest/x86/putty.exe
https://sourceforge.net/projects/tftp-server/?source=typ_redirect 를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다.(설치 디렉토리를 잘 기억해 두자 - 나는 D:\Utils\OpenTFTPServer 에 설치했다.)
https://wiki.openwrt.org/toh/netis/wf-2881 참고 하여 아래의 파일을 다운로드 한다.
를 다운로드 받아 D:\Utils\OpenTFTPServer\fw.bin 파일명으로 변경 한다.
아래와 같이 꾸민다.
(IP는 나중에 볼것이므로 상관하지 말자 - 단 192.168.1.x 로 시작되는 IP는 피한다.)
- 아래 그림을 참고하여 USB TO TTL를 연결한다.
- cmd ipconfig를 확인하여 자기 IP를 확인하고 쓰지 않는 IP를 알아 낸다.
아래 사진에서는 192.168.0.139 가 자기 IP
ping 으로 192.168.0.222 를 쳐서 쓰지 않는 IP인것을 확인
C:\Users\fehead>ping 192.168.0.222 |
- tftp 서버를 실행 시켜 놓는다.
tftp server를 설치해 놓은 디렉토리로 가서 D:\Utils\OpenTFTPServer\RunStandAloneMT.bat 를 더블클릭하여 실행시킨다.
- USB TO TTL를 USB에 연결하고 장치 관리자로 가서 COM port를 확인한다.
아래 화면에서는 COM11 이다. 잘 기억하자.
- 다운로드 받은 putty.exe 파일을 실행시키고
- Connection Type: 에서 Serial를 선택
- 아래 내용대로 COM11 , 57600 를 선택하고
- Open
- 아래와 같이 환경이 꾸며 졌으면 이제 M1200AC(WF-2881) 공유기 전원을 켠다.
- putty 에 글자가 나오면 재대로 된것이며 글이 깨져보이거나
글자가 안나온다면 UART TX, RX 연결을 바꿔 보고 공유기 전원을 껐다 다시 켜라.
그래도 안나온다면 납땜이나 USB TO TTL이 불량일 확률이 높다.
- 아래의 그림과 같은 화면이 나올텐데
"You Choosed" 글자가 나오면 2(엔터 치지마라) 를 누르고
"Y"
"192.168.0.222" : M1200AC(WF-2881) 공유기에 설정될 IP
"192.168.0.139" : PC IP (TFTP 서버)
"fw.bin" : OpenWrt 펌웨어 를 치고 엔터를 쳐라.
- 드디어 패치가 되고 있다. checksum bad는 신경 쓰지 말자
- 이제 설치가 완료 되었다. 몇가지 설정을 하자
- 설치가 되었다면 바로 리셋버튼을 눌러 리셋을 하자(리셋버튼 10초 이상)
- 리셋후 재부팅을 하자
- M1200AC(WF-2881) LAN에 꽃혀 있는 인터넷 선을 WAN에 꽃아 놓자.
putty 화면에서 좀 기다리면 더이상 글자가 안나온다면 엔터를 몇번 치면 아래와 비슷한 화면이 나올것이다.
BusyBox v1.24.2 () built-in shell (ash) |
passwd 와 엔터를 쳐서 암호를 변경하자
root@OpenWrt:/# passwd |
"opkg update" 명령과 "opkg install luci"를 실행 시켜 웹 환경을 설정한다.
root@OpenWrt:/# opkg update root@OpenWrt:/# opkg install luci ... |
- 공유기 LAN1에 PC를 연결하여 http://192.168.1.1/ 로 접속한다.
- 조금전에 설정한 root 암호로 접속하면 된다.
주의 여기에 나오 것을 하면 100% AS 안됨을 알려 드립니다.
한마디로 AS를 포기해야 합니다.
http://fehead.tistory.com/218 M1200AC(WF-2881) 분해
http://fehead.tistory.com/219 Open Wrt 올리기 1 - 부품 주문
납땜기로 열심히 녹여 봤습니다만 안되더군요.
그래서 칼로 납을 깍고 살짝 구멍을 내고, 작은 십자, 일자 드라이버로 구멍을 뚫었습니다.
아래 CPU를 기준으로 3개를 USB TO TTL에 연결합니다.
주의 여기에 나오 것을 하면 100% AS 안됨을 알려 드립니다.
한마디로 AS를 포기해야 합니다.
OpenWrt를 적용해 볼려고 네티스 M1200AC 공유기를 중고로 사봤다.
네트스 WF-2881과 똑같고 모델명만 다르다.
가격은 싼데 가격에 비해 사양은 고사양이다. 듀얼코어에 5G, 2.4G 지원에 USB 3.0까지 지원한다.
게다가 Open Wrt를 쓸수 있는 한국 최초의 제품이다(아마도..)
Open Wrt는 설 지나고 나서야 설치할 수 있을 듯 하다.
다 좋은데 환기 구멍이 바닥 밖에 없는데..
환기 구멍도 작고 내부 구조 상 의미 없는 수준이다.
그래서 구멍을 뚫어 버렸다.
분해 중인 사진
참고로 사진상 파란 것은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분해 할때 쓰는 도구다.
분해 완료
분해 사진
공유기 바닥에 있는 구멍에 드릴를 살짝 올려놓고 드릴을 1, 2초정도만 돌려도 잘 뚫린다.
바닥에 놓고 뚫지 마시길..
바닥에 놓고 뚫을려다가 순식간에 뚫려 장판 뚫릴뻔 했다.
순식간에 뚫린다. 1, 2초반에 바로 ..
옆쪽은 작은 드릴로 실구멍을 뚫어 놓은다음 큰 드릴로 뚫는다.
바로 큰 드릴로 뚫으면 반듯하게 뚫리지 않는다.
위부분도 마찬가지로 작은 드릴로 먼저 뚫고 큰 드릴로 뚫었다.
완성된 공유기
좀 보기 흉하다.. 그냥 옆부분만 뚫고
윗부분은 놔둘걸 하는 생각을 했다.
바닥부분.. 가장 마음에 든다.
아래 사진과 같이 옆으로 세워 사용하고 있다.
쿨러를 달려고 생각했지만 쿨러 달면 소음이 생기기 때문에 그냥 구멍을 많이 뚫는것으로 참았다.
# vi /etc/config/firewall
제일 하단에 아래 추가.
config redirect |
# /etc/init.d/firewall restart
동적DNS를 무료로 사용해보자 - FreeDNS - 여기를 참고 하라.
http://freedns.afraid.org/dynamic/ 에 들어가서 중앙 하단 부분에 자기가 등록한 도메인이 있을 것이고 그 아래쪽에 Direct URL 를 클릭하면 새창이 뜬다.
여기서 나온 URL부분에
빨간 상자 부분이 키 값이다.
# opkg install ddns-scripts
# vi /etc/config/ddns
# 아래 내용을 추가 한다. config service 'mydns' |
# /etc/init.d/ddns enable
# /etc/init.d/ddns restart
# 로그 확인
# cat /var/log/ddns/mydns.log
...
...
밤에 집에 가는길에 키보드를 주었다.
usb 선이 어디론가 없어져 있었는데..
뭔가 꽤 좋아 보이는 멤브레인 키보드였고 Sun마크가 붙어 였었다.
게다가 Num Lock, Caps Lock, Sroll Lock LED가 중앙 상단에 위치에 있었다.
보통은 우측 상단에 있는데 이놈은 중안에 상태 LED가 불어 있었다.
왠지 텐키리스 개조가 쉽게 되지 않을까 생각했고 조금 고민후 주워왔다.
회사에서는 기계식 키보드 갈축을 쓰는데 다른 사람들은 키보드 타건 소리 가지고 뭐라고 하지 않지만
다른 사람에게 미안하여 싼 멤브레인 키보드를 알아 보고 있었지만 마음에 드는건 없고
무정전 키보드는 너무 비싸고 생각보다 소음이 있었다.
그래서 난 이 키보드의 텐키부분을 잘라네어 개조가 가능할것 같아 주워 왔고 개조를 실시하였다.
키보드 모델명은 Sun keyboard Type 7 중고나라에서 무려 4~5만원에 거래되고 있었다..
무지 비싼 키보드였던것이다.
이걸 버린 사람에게 감사를 하고 분해해서 텐키부분을 잘라 버렸다.
그리고 USB선은 고장난 마이크로 소프트 마우스 선으로 대용했고
한번에 성공했다.
사진을 거의 안찍고 마지막 테스트후 조립할때 찍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