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shell에서 vim 명령을 실행해봐서 실행이 안되면 설치를 합니다.

저는 소스 설치를 하였습니다.

$ cd /tmp
$ wget ftp://ftp.vim.org/pub/vim/unix/vim-7.3.tar.bz2
$ bunzip vim-7.3.tar.bz2
$ tar xvf vim-7.3.tar
$ cd vim73
$ ./configure --enable-multibyte --enable-cscope --enable-gui=no
$ make
$ make install
지우고 싶으면
$ make uninstall

아래 링크 끝에것을 적용하면 컬러가 나옵니다.
http://kldp.org/node/18698


간단히 정리하자면
.bashrc 제일 밑에 아래를 추가합니다.
alias vi='TERM=iris-ansi vim'


혹은
alias vi='TERM=dttermvim'
솔라리스에서는 아래도 된다고 합니다.
alias vi='TERM=xtermc vim'

http://blog.sdnkorea.com/blog/855?category=10
=================================================================
=================================================================
제 .bashrc 파일
# 특정 IP유저의 설정을 다르게. 자기 IP가 211.2xx.1xx.xx0 이라고 가정
if [ "(211.2xx.1xx.xx0)" = `who am i|awk '{print $6}'` ] ;then
    export LANG=ko_KR.UTF-8
    export LC_ALL="ko_KR.UTF-8"
    export LC_LANG="ko_KR.UTF-8"
    export LC_MESSAGE="ko_KR.UTF-8"
    unalias vi
    alias vi='TERM=dtterm vim'
    #alias vim='vim -T iris-ansi'
    export PS1='\e[0m[\e[1;32m\u\e[0m@\e[1;31m\h\e[0m \w \t]\n\$ '
fi

한글입력 가능하게
~/.inputrc 파일

set meta-flag On
set convert-meta Off
set output-meta On


=================================================================
=================================================================

이건 보너스로
.vimrc 파일

set sw=4 ts=4
sy on
colorscheme ron
set fileencodings=utf-8,euc-kr
map <f1>:!ctags *.h *.cpp<cr>
map <f2> :w!<cr>
map <f3> v%zf
map <f4> zo
map <f5> :25vs ./<cr>:set nunumber<cr>^Ww
map <f6> ^Ww
map <f7> O
map <f8> [i
map <f9> gd
map <f10> ''
map <f11> ^]
map <f12> ^T
set cindent
" set expandtab
set dy+=lastline
set tags=./tags,usr/include/tags
1. 레지스트리중 아래 키값으로 이동
 -->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Internet Explorer/Main

2. Main 권한설정에 "값 설정" 거부를 셋팅.

원복할려면 거부된 권한 설정만 삭제하면 된다.




'지겨운 액티브X’ 공짜로 지워준다

http://www.zdnet.co.kr/ArticleView.asp?artice_id=20090310092215

www.ncsc.go.kr 에서 배포중이고

일정 기간동안 쓰이지 않는 엑티브X를 지울수 있게 도와줍니다.


혹시나 몰라 파일을 첨부하였습니다^^

윈도우를 다시 깔다 보면 윈도우가 mbr를 초기화 시켜버려 grub이 삭제되는 일이 발생한다

이때 처리 방법

1. 우분투 라이브로 부팅한다.
2. root콘솔로 들어간다.

아래명령어를 실행한다.

적당히 변경하면 되며 띄어쓰기는 반드시 지킨다.

hd0, 1 에 리눅스 루트 디렉토리가 있다고 가정.
grub를 실행하고

"root" 를 치고 한칸 띄고 탭키를 두번(혹은 한번) 누르면 하드 목록이 보인다.

# grub
grub> root (hd0,1)
grub> setup (hd0)
grub> quit

KLDP daybreaker님이 Putty를 패치한 dPutty입니다.


한글/ 영문 글꼴 분리, 유니코드가 지원됩니다.


직접 다운로드
http://dev.daybreaker.info/dputty

https://dev.daybreaker.info/dputty/export/43/release/r42/putty.exe

KLDP 글
http://kldp.org/node/96044
로지텍 마우스 드라이버입니다.


MBR 백업.

백업할 MBR /dev/sdb

$ dd if=/dev/sdb of=./usb.mbr count=1 bs=512

복구시
$ dd if=./usb.mbr of=/dev/sdb



# apt-get build-dep 패키지이름
# apt-get source 패키지이름

패치
# patch -p0 < patch_file

# cd 소스디렉토리
# dpkg-buildpackage -rfakeroot


패키지 hlold
# echo "패키지이름 hold" | sudo dpkg --set-selections

참고 URL http://kldp.org/node/75845
  1. 한글 설정
    1. ~/.inputrc
      set meta-flag on
      set convert-meta off
      set input-meta on
      set output-meta on

    2. ~/.bashrc
      alias ls='ls --color=tty --show-control-char'

    3. ~/.bash_profile
      if [ -z "$INPUTRC" -a ! -f "$HOME/.inputrc" ]; then
              INPUTRC=/etc/inputrc
      fi

  2. ssh 키생성

    1. ssh-keygen -t dsa
    2. cd ~/.ssh
    3. id_dsa.pub 을 상대 authorized_keys에 추가
  3. sshd_config

    1. 접속이 느리다면 UseDNS no 추가

이 글은 스프링노트에서 작성되었습니다.


루비블루 C, C++추가판입니다.

아래가 오리지널 사이트입니다.

http://3276.hu/project/port_of_ruby_blue.html
http://www.sitepoint.com/forums/showthread.php?t=534023

업데이트 요청을 받지않는다고 하네요.
기다리라고 하는데. 언제 나올지도 모르고

오리지널판 받아서 추가해서 만들었습니다.


그냥 noteapad++ 가 있는 디렉토리에 덮어 쓰면 되겠습니다.

수정) 2009-1-5 CHARCTER 배경색 수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