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원 HD를 아직도 사용중이다.

그런데 최근 크레마 PC버전을 설치하고 사용하려니 페이지원HD 인식을 못하였다.

그래서 어렵사리 예전 버전을 구해서 사용하니 인식을 하였다.


혹시 몰라 여기에 업로드 해 놓는다.




crema_3.0.0.0.exe.7z.001

crema_3.0.0.0.exe.7z.002

crema_3.0.0.0.exe.7z.003

crema_3.0.0.0.exe.7z.004


070-7738-xxxx 등에서 스팹 전화가 꾸준히 온다.

올때마다 블랙리스트로 하나씩 막아 두었는데

매번 뒷 4자리가 다르게 해서 오거나 070-4xxx 에서도 몇 달이 넘도록 전화가 온다.


그래서 전화번호 앞자리만 가지고 막는 방법을 찾아봤는데...

전화 --> 설정 --> 블랙리스트에 가보면 wildcard로 전화 번호를 막는 방법이 있다.


070-7738로 시작하는 전화번호를 막을려면 0707738.* 이런식으로 막을수 있다고 써있다.

그런데 이게 안 먹힌다.


그래서 어쩔수 없이 하나씩 막게 했는데 도저히 안되겠어서 CM11 소스를 가져와 BlacklistUtils.java 소스에 로그를 남기는

코드를 집어넣어 놓고 해보았지만 로그에서는 db query를 넘기기 전까지는 잘된다.


결국 BlacklistProvider.java 쪽에 문제가 있는것을 확인하고 전화앱을 교체해 봤는데 ... 전화앱만 바꾸니 자꾸만 다운 되었다.

어쩔수 없이 복구..


좀 시간이 지난후에 한번 BlacklistProvider.java 소스를 자세히 봤다..


전화번호 블랙리스트는 com.android.providers.telephony/databases 에 있는 blacklist.db에 데이터를 집어 넣고

이를 sql query 로 가져와 매칭이 된것이 있으면 블럭시키는 구조를 가졌고 db 구조는 아래와 같았다.



_id

number

normalized_number

is_regex

phone

message

 1

 0707078xxxx

 +82707078xxxx

 0

 1

 0

 2

 0704198xxxx

 +82704198xxxx

 0

 1

 0

 3

 0704.*

 0704_%

 1

 1

 0

 4

 0707738.*

 0707738_%

 1

 1

 0


number 컬럼은 내가 입력한 전화번호이고, normalized_number는 나중에 필터링 할때 쓰는 번호,

is_regex는 와일드 카드 사용여부, phone은 전화번호 여부, message는 sms여부다.


일반 전화번호는 (예를 들어 0707078xxxx) normalized_number 에 "+"와 국제 전화번호 "82"가 들어가있는데

이상하게 와일드 카드에는 "+" 와 국제전화번호가 "82" 가 안들어가 있다.


DB query를 분석해도


select * from blacklist where "전화온 전화번호(국제전화번호)" like normalized_number;


이다.


아!!! 국제 전화번호를 앞에 넣거나 혹은 ".*0707738.*" 이런식으로 앞뒤에 와일드 카드를 넣어야 했던것이다.


결국 국제 전화 번호를 앞에 넣어 테스트 해보니 잘 작동 된다.

예)  0707738.* --> +82707738.*



*****************************************************************

정리) 전화  블랙리스트에 0707738.* 이런식으로 와일드를 사용하지 말고

+82707738.* 이런식으로 국제전화 번호를 앞에 추가 해서 넣거나

.*707738.* 이런식으로 앞뒤에 와일드 카드를 넣어써라.


저번( http://fehead.tistory.com/211 )에 이어 이번에는 윈도우에서 ESC키를 누르면 영문으로 바뀌게 하는 것을  해보겠습니다.



=====================================

VIM을 쓸때 한글 상태에서 ESC 키를 누르고 :wq 를 누르면 :ㅈㅂ 이 나오는 현상을 많이 보셨을 겪어 보셨을 것입니다.

ESC키를 누르면 자동으로 영문 상태로 바꾸게 하는 방법들이 있습니다.


이것 들중 하나를 소개 해 드리겠습니다.


바로 한글 입력기에서 지원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


윈도우에서는 날개셋과 새나루가 지원합니다.

하지만 새나루는 개발이 끊긴지 오래 되어 날개셋을 설명하겠습니다.


1. 날개셋을 다운 받습니다.

site : http://moogi.new21.org에 접속하여 중간 쯤까지 스크롤을 내려 <날개셋>을 다운 받습니다.




2. 날개셋을 설치합니다.


3. 편집기는 설치할 필요가 없습니다. 편집기는 체크를 해제해도 됩니다.



4. 제어판에서 "국가 및 언어 옵션"으로 들어 갑니다.

아래 처럼 자세히를 눌러 텍스트 서비스 및 입력 언어를 설정합니다.


5. 기본 입련 언어를 한국어 - <날개셋> 한글입력기를 선택합니다.



6. 옵션 : <날개셋> 한글 입력기를 제외한 나머지를 모두 제거 합니다.

( 제거 하지 않아도 됩니다.)


7. <날개셋> 한글 입력기에 ESC키를 바꾸기 위해 설정으로 들어갑니다.


8. 좌측 "단축 글쇠" --> "추가(A).." 를 누릅니다.



9. ESC 영문키로 바꾸기 설정을 진행합니다.

아래 화면처럼 좌측에는 없음으로 모두  좌측으로 스크롤을 밀어 주시고

가상 키보드(V) 에는 Esc를 선택

용도(U) "1. 글자판(입력 항목) 전화"

계산식(E) 1 - 설명 : 영문으로 변경

글쇠 독점하지 않기 에 체크 합니다.



10. 다시 전화면으로 가서 입력 도구 모음을 선택합니다.


11. 바탕화면에 입력도구 모음이 표시 되도록 합니다.


12. 재로그인을 합니다.


13. 바탕 화면을 보시면 아래와 같은 한글 상태 표시줄이 표시 되는데 아래 화살표를 눌러 불필요한 아이콘을 없애 줍니다.

 아래에서는 입력모드와 한자 변환 아이콘만 표시 하도록 하였습니다.


14. 이제 사용하시면 됩니다.

혹시 ESC키가 잘 안되면 한글 상태 표시줄이 위와 같은 날개셋인지 잘 확인해주세요

VIM을 쓸때 한글 상태에서 ESC 키를 누르고 :wq 를 누르면 :ㅈㅂ 이 나오는 현상을 많이 보셨을 겪어 보셨을 것입니다.

ESC키를 누르면 자동으로 영문 상태로 바꾸게 하는 방법들이 있습니다.


이것 들중 하나를 소개 해 드리겠습니다.

바로 한글 입력기에서 지원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벼루 입력기를 보시겠습니다.(참고로 나비 입력기도 똑같이 지원합니다.)


일단 벼루 입력기를 설치하는 것을 보여 드리겠습니다.


민트 리눅스 기반으로 설명하겠습니다.


1. 먼저 제어판에서 언어 설정으로 들어갑니다.




2. 언어 설정으로 들어 왔으면 "언어 입력기" 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UIM"을 설치합니다.(그림에  써진 2번을 클릭합니다)


3. UIM 입력기를 설치하는 중입니다.


4. 설치가 완료 되었으면 터미널을 열어 아래의 명령어로  한글 입력기 벼루를 설치합니다.


 $ sudo apt-get install uim-byeoru 



5. 언어 입력기에서 언어 입력기를  "UIM"으로 설정합니다.


6. 이제 다시 제어판으로 가셔서 아래와 같은 "입력기"를 클릭하여 UIM을 설정합니다.(혹시 안보이시면 재 로그인을 하세요)



7. 전체적인 설정에 들어가서 디폴트 입력기를 벼루로 선택합니다.



8. 벼루 설정으로 가서 "ESC를 누르면 영문모드로(vi 사용자용)" 이 체크 된 것을 확인합니다.



9. 벼루 키 설정 1로 가서 한영키로 한영을 변경할수 있도록 등록합니다.


이제 재 로그인를 하여 ESC로 한영키가 바꿔어 지는 것을 확인합니다.






linux mint 다운로드

http://www.linuxmint.com/download.php

가벼운 순으로

Xfce >> MATE >> Cinnamon 순으로 가볍습니다.


멋진 UI 순으로 보면

Cinnamon  >> MATE >> Xfce 순으로 멋집니다.


노트북에 설치하신다면 ,Xfce, MATE 설치하는것을 추천합니다.


램이 4G 이하라면 32Bit 버전,

램이 4G 이상이라면 64Bit 버전 설치를 추천합니다.


여기서는 Xfce 32Bit버전 혹은 MATE 32Bit버전을 설치합니다.


윈도우에서 usb 부팅디스크를 만들려면 아래것을 다운로드 받아 iso를 선택하여 부팅디스크를 만듭니다.

http://www.pendrivelinux.com/universal-usb-installer-easy-as-1-2-3/

http://www.pendrivelinux.com/yumi-multiboot-usb-creator/



노트북에 민트 리눅스 설치후 노트북용 전력 관리 프로그램, 한글 입력기, 테마를 설치합니다.

http://luckyyowu.tistory.com/281


상위 링크 요약 버전


$ sudo -i

 **** : 암호 입력

# add-apt-repository ppa:linrunner/tlp
# add-apt-repository ppa:snwh/pulp
# add-apt-repository ppa:numix/ppa


# apt-get update


# apt-get install tlp tlp-rdw paper-gtk-theme paper-icon-theme \
    numix-gtk-theme numix-icon-theme-circle numix-icon-theme \
    uim uim-byeoru tlp tlp-rdw rdesktop
    
# tlp start



커널 분석 환경 vim 설정

http://iamroot.org/wiki/doku.php?id=kernel_original_12_a:2015_06_27


 vim 사용법
    번들 설치(git clone https://github.com/ygpark/vimconfig.git ~/vimconfig)

ctags 사용법
    리눅스 커널 디렉토리에서 tag 만드는 법(make tags ARCH=arm)


yaourt -S freshplayerplugin-git


freshplayerplugin-git 를 추가로 깔아 쓰면 된다.



https://github.com/i-rinat/freshplayerplugin

전에 구멍을 뚫었던 ipTime N604M 공유기에 회사에 남아 있던 쿨러를 달아 줬습니다.

http://fehead.tistory.com/189


위에 뚜껑 부분에 쿨러에 맞게 커터칼로 구멍을 뚫고 

쿨러 부분과 구멍에 살짝 글루건으로 붙여서 떨어 지지 않게 했습니다.



ipTime 전원이 9V, 쿨러가 12V 용이라 그냥 달았는데 조용합니다.






사용 샷.

퇴근시에 불을 끄고 보면 화려합니다 ㅎㅎ





회사에 쓰던 iptime N604M 이 한 일, 2주일에 한번씩 이상이 생겨 분해해봤더니


환기가 전혀 안되는 것 같은 구조였다.


그래서 윗 부분을 뚫어 버렸다.




먼저 분해해서 보면 윗부분에 편의을 위해 난 구멍이 있는데 그곳에 손가락을 넣어 검은 껍데기를 위로 강하게 밀어 때어 내버리고


하얀 부분은 커터 칼로 여러번 사각으로 칼집을 내고 그 사각 안쪽에 구멍이 있는데 그곳에 롱로우즈를 넣고 비틀고

잡아 당겨서 윗부분을 사각으로 구멍을 내였다.


안쪽에 방열판이 보이는데 나중에 한참 작동중인 공유기 방열판을 손가락으로 만져 봤더니 따뜻한 것이 느껴졌다.




전혀 방열이 안된 상태라면 충분히 이상이 생길 것 같은 온도였다.






현재 잘 돌아가고 있고 나중에 심심하면 위에 쿨링 팬을 달아볼 예정이다


개조 2탄 - 쿨링팬 달기 


http://fehead.tistory.com/190



제어판 --> 관리도구 -->로컬 보안정책 --> 소프트워어 제한 정책 --> 추가규칙 -->


cp949(euckr) 로 인코딩 파일명을 utf-8 변경하기 


아래 명령으로 하위 디렉토리에 있는 모든 파일을 변경해 준다.


convmv -r -f cp949 -t utf8 --notest target_dir

 


+ Recent posts